🔍생활지식😊

전세금 지원받는 법: 무주택자를 위한 전세 지원금 총정리 (2025년 기준)

더나은삶0608 2025. 4. 3. 12:45

“전세금이 없어서 결혼도, 독립도 못해요…” → 정부가 도와줍니다!

요즘 전세 보증금, 너무 비싸죠?
신혼부부도, 사회초년생도, 무주택자도 전세금이 부담돼서 발만 동동…
그런데 알고 계셨나요?
정부가 전세금 지원을 해주는 다양한 제도가 있다는 것!

2025년 현재
최대 1억 5천만 원까지 전세자금 지원이 가능한 무주택자 전용 프로그램들
한 번에 정리해드립니다!


✅ 전세자금 지원 프로그램 TOP 5

1. 청년 전세임대 (LH)

  • 대상: 만 19세~39세 무주택 청년
  • 지원 내용:
    • LH가 임대인에게 전세금 지급 → 청년은 소액 보증금 + 월 임대료만 납부
    • 최대 지원금 1억 5천만 원
  • 임대 기간: 2년 + 연장 가능 (최대 6년)
  • 신청: apply.lh.or.kr (LH 청약센터)

2. 신혼부부 전세임대

  • 대상: 결혼 7년 이내 신혼부부 / 예비부부도 포함
  • 지원금: 수도권 기준 최대 1억 2천만 원
  • 월세: 보증금 일부 + 연 1~2% 수준의 저금리
  • 신청: LH or SH 전세임대 신청센터

3. 일반 전세자금 대출 (버팀목 전세자금)

  • 대상: 무주택 세대주 / 연소득 5천만 원 이하
  • 금리: 연 1.2%~2.4% (2025년 기준)
  • 한도: 수도권 최대 1억 2천만 원
  • 신청: 은행 or 주택도시기금 홈페이지

4. 청년월세 지원 (지자체별 추가 지원)

  • 대상: 월세 살고 있는 무주택 청년
  • 내용: 월 최대 20만 원 지원 / 최대 12개월
  • 신청: 복지로 or 각 지자체 홈페이지
  • 팁: 전세 전환 전 잠깐 거쳐도 받을 수 있어요!

5. 사회초년생 자가 전세대출

  • 대상: 취업 5년 이내 + 연소득 4천만 원 이하
  • 특징: 일반 전세대출보다 우대금리 적용
  • 한도: 8천만 원~1억 원 / 최장 10년까지
  • 신청: 국민은행, 우리은행 등 협약은행

✅ 신청 시 준비할 것

  • 주민등록등본
  • 무주택확인서 (세대 전체 기준)
  • 소득증빙자료 (근로소득원천징수영수증 등)
  • 전세 계약서 (사전 확인용)
  • 임대인의 동의서 (LH 등은 필수)

❓ Q&A – 전세자금 지원, 헷갈리는 포인트

Q. 월세로 살고 있어도 전세 지원 받을 수 있나요?
A. 가능합니다!
전세로 이사 계획만 있어도, 전세계약 전 신청 가능합니다.

Q. 집은 내가 구하나요, 정부가 구해주나요?
A. 대부분의 전세임대는 내가 원하는 집을 구하면 LH가 계약합니다.
(단, LH가 정한 기준 내에서)

Q. 중복 지원 가능한가요?
A. 동일 목적의 대출은 중복 불가!
예: 버팀목 대출 + 청년 전세임대는 안됨 → 택1 해야 해요.


✨ 마무리 – “집 없다고 주저 말고, 지원금부터 알아보세요”

전세자금, 혼자 다 부담하지 않아도 됩니다.
정부의 제도만 잘 활용해도 수천만 원 부담을 줄일 수 있어요.

📌 전세 구하기 전,
📌 ‘먼저’ 받을 수 있는 지원금부터 확인하세요!
몰라서 못 받는 게 제일 억울한 법입니다.

반응형